으로 끝나는 두 글자의 단어: 67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67개 세 글자:30개 네 글자:22개 다섯 글자:2개 여섯 글자 이상:7개 모든 글자:129개

  • : (1)전형적인 법이나 규범.
  • : (1)제사를 지낼 때에, 술을 세 번 부어 올림. 또는 그때 쓰는 술잔. 초헌(初獻), 아헌(亞獻), 종헌(終獻)을 이른다.
  • : (1)일반적인 규정(規定)이나 규칙(規則). (2)변하지 아니하는 규칙. (3)범죄 사실을 자세히 밝혀 죄를 결단함. (4)‘안정복’의 호.
  • : (1)법을 행사할 권리를 가짐.
  • : (1)법률 또는 명령, 규칙, 처분 따위가 헌법의 조항이나 정신에 위배되는 일.
  • : (1)큰 법규. (2)조선 시대에 둔, 사헌부의 종이품 벼슬. 정사를 논하고 백관(百官)을 감찰하며 기강을 확립하는 따위의 업무를 맡아보았다. (3)천도교의 교규(敎規)와 교법(敎法).
  • : (1)대종교(大倧敎)의 제2대 교주(1868~1923). 자는 백유(伯猷). 호는 무원(茂園)ㆍ보화(普和). 대사성, 규장각 부제학을 지냈다.
  • : (1)새로 거둔 물건을 처음으로 바침.
  • : (1)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초헌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둘째 술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2)‘아흔’의 방언
  • : (1)산돼지와 비슷한 짐승인 어(魚)의 가죽으로 꾸민 수레나 가마. 왕후나 제후의 부인이 탔다.
  • : (1)헌법을 고침.
  • : (1)헌법을 보호하여 지킴.
  • : (1)‘안향’의 호.
  • : (1)‘입헌’의 북한어.
  • : (1)공부하기 위하여 따로 마련한 방.
  • : (1)‘국헌’을 달리 이르는 말. (2)힘을 써 이바지함. (3)공물을 바치던 일.
  • : (1)나라의 법률이나 법규.
  • : (1)높은 처마.
  • : (1)조선 중기의 승려(1542~1632). 속성은 조(曺). 호는 순명(順命)ㆍ제월당(霽月堂). 휴정(休靜) 서산 대사 밑에서 수도하였고 임진왜란 때 휴정의 승병 좌영장(左營將)으로 활약하였다. 저서에 ≪제월당집(霽月堂集)≫이 있다.
  • : (1)중국 춘추 시대의 노나라 사람(?~?). 자는 자사(子思)ㆍ원사(原思). 공자의 문인으로, 공자에게 임명되어 가읍(家邑)의 우두머리가 되었다.
  • : (1)‘정극인’의 호.
  • : (1)정부나 관청에서 정한 법규. (2)예전에, ‘관청’을 이르던 말. (3)예전에, 관직에 있는 사람을 이르던 말.
  • : (1)제사에서, 술을 부어 신위(神位) 앞에 드림.
  • : (1)임금이 대(臺)에 나와 앉던 일.
  • : (1)한 집안의 법도나 규율.
  • : (1)집의 안채와 떨어져 있는,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손님을 접대하는 곳.
  • : (1)‘태양’을 달리 이르는 말.
  • : (1)나라의 근본이 되는 법규라는 뜻으로, ‘헌법’을 달리 이르는 말.
  • : (1)‘이가환’의 호. (2)선왕의 영(靈) 앞에 성의(誠意)를 바침.
  • : (1)‘내헌’의 북한어.
  • : (1)황제가 정한 규칙.
  • : (1)물건을 바침.
  • : (1)세 살 된 성모 마리아를 그 부모가 성전에서 하느님에게 드린 일. 11월 21일이 그 축일이다.
  • : (1)임금에게 예물을 바치던 일. (2)조선 시대에, 중국에 조공(朝貢)하려고 각 도(道)에서 받아들이던 공물.
  • : (1)물건을 받들어 바침.
  • : (1)헌법의 취지에 맞는 일.
  • : (1)‘이혼’의 방언
  • : (1)조선 고종 때의 정치가(1810~1884). 초명은 관호(灌浩). 자는 국빈(國賓). 호는 위당(威堂)ㆍ금당(琴堂)ㆍ동양(東陽)ㆍ우석(于石). 1875년에 일본과 강화도 조약을, 1882년에 미국과 한미 수호 조약을 체결하였다. 문장에 뛰어났고 난초를 잘 그렸다.
  • : (1)돈이나 물건을 바침.
  • : (1)조정이 제정한 법령. 또는 천자(天子)의 명령.
  • : (1)‘홍대용’의 호.
  • : (1)아가위나무 동헌(東軒)이라는 뜻으로, ‘선화당’을 예스럽게 이르던 말. 중국 주(周)나라의 소백(召伯)이 관찰사로 나가서 남국을 순행하며 아가위나무 그늘에서 쉬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정당에서 내부적으로 정한 강령이나 기본 방침.
  • : (1)옛날의 법과 제도. (2)높은 처마. (3)남의 수레를 높여 이르는 말.
  • : (1)풍화(風化)와 헌장(憲章)이라는 뜻으로, 풍습과 도덕에 대한 규범을 이르는 말. (2)조선 시대에, 유향소에서 면(面)이나 이(里)의 일을 맡아보던 사람.
  • : (1)제사 지낼 때 세 번 올릴 술잔을 한 번만 올리는 일.
  • : (1)중국 후한(後漢)의 정치가(?~92). 누이가 장제(章帝)의 황후이자 화제(和帝)의 태후가 되자 외척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다. 흉노를 토벌한 공으로 대장군이 되었지만, 화제가 두헌의 전횡을 우려해 대장군의 인수(印綬)를 몰수하고 그를 자살하게 했다.
  • : (1)옛날의 제도나 문물을 아는 데 증거가 되는 자료나 기록. (2)연구의 자료가 되는 서적이나 문서.
  • : (1)종묘 제사나 향음주례에 쓰던 삶은 개고기.
  • : (1)조선 시대에, 종일품 이상 및 기로소(耆老所)의 당상관이 타던 가마. 앞뒤로 두 사람씩 네 사람이 낮게 어깨에 메고 천천히 다녔다.
  • : (1)헌법을 만들어 정함. (2)‘봉헌’의 전 용어. (3)고려 시대에, 감찰사(監察司)에 둔 으뜸 벼슬. 정삼품이다.
  • : (1)한 겨레붙이의 문중의 일을 의논하기 위하여 모이는 모임의 헌장. (2)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아헌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셋째 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 : (1)지방 관아에서 고을 원(員)이나 감사(監司), 병사(兵使), 수사(水使) 및 그 밖의 수령(守令)들이 공사(公事)를 처리하던 중심 건물.
  • : (1)와서 바침.
  • : (1)전쟁할 때에 쓰는 수레.
  • : (1)윗사람에게 올려 바침.
  • : (1)천도교에서, 교리를 해설하며 여러 가지 종교 의식을 행하는 집. 또는 그 집에 있는 종교 기관의 교직.
  • : (1)헌법을 제정함.
  • : (1)‘헌헌하다’의 어근.
  • : (1)범죄와 형벌에 관한 법률 체계. 어떤 행위가 처벌되고 그 처벌은 어느 정도이며 어떤 종류의 것인가를 규정한다.
  • : (1)사헌부에 속한 장령(掌令).
  • : (1)‘성문 헌법’을 줄여 이르는 말.
  • : (1)지어서 바침. (2)조정의 법규. (3)나라의 근본이 되는 법규라는 뜻으로, ‘헌법’을 달리 이르는 말. (4)조선 선조 때의 문신ㆍ의병장ㆍ학자(1544~1592). 자는 여식(汝式). 호는 중봉(重峯)ㆍ도원(陶原)ㆍ후율(後栗). 이이의 문인으로 기발이승 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지지하여 스승의 학문을 계승ㆍ발전시켰다. 임진왜란 때 옥천, 홍성 등지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에서 7백 의병과 함께 전사하였다. 저서에 ≪중봉집≫이 있으며, ≪청구영언≫에 시조 세 수가 전한다.
  • : (1)조선 시대에 둔, 사헌부의 종이품 벼슬. 정사를 논하고 백관(百官)을 감찰하며 기강을 확립하는 따위의 업무를 맡아보았다. (2)조선 고종 때에, 의정부 도찰원에 둔 벼슬. 처음에는 사헌(司憲)이라 불렀다. (3)통일 신라 시대의 승려(?~?). 구산 조사(九山祖師)의 한 사람으로 구산문(九山門)의 하나인 희양산문(曦陽山門)의 개조이다.
  • : (1)독립운동가ㆍ사회 운동가(1885~1951). 1927년 2월 신간회 중앙 집행 위원장으로 활동하는 등 독립운동에 힘썼으며, 광복 후에는 여운형과 함께 건국 준비 위원회로 활동하였다. 월북하여 최고 인민 회의 의장, 김일성 대학 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 : (1)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헌법과 같은 뜻으로 쓰던 말. 임시 정부의 헌법은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 헌장’으로 제정ㆍ공포된 이후 ‘헌법’, ‘약헌’이라는 이름으로 다섯 차례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1927년 제3차 개헌과 1940년 제4차 개헌 때는 ‘대한민국 임시 약헌’이라고 하였다.
  • : (1)조선 중기의 문인(1570~1636). 자는 시재(時哉). 호는 삼일산인(三一山人)ㆍ우용(寓慵)ㆍ팔계후인(八溪後人). 임진왜란 때 승군(僧軍)으로 출전하여 공을 세웠고, 광해군 때 별시(別試)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간관(諫官)의 탄핵을 받아 취소되었다. 시서(詩書)에 뛰어났으며, 문장은 ≪동국필원(東國筆苑)≫에 실려 있다. (2)조선 후기의 역관(1707~?). 자는 덕장(德章). 중국어에 능통하여 여러 차례 통역관으로 청나라에 드나들었다. 저서에 ≪노걸대신석(老乞大新釋)≫이 있다.
  • : (1)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참신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첫 술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2)조선 시대에, 종묘 제향 때에 첫 번째 잔을 올리는 일을 맡아보던 제관. (3)조선 시대에, 종이품 이상의 벼슬아치가 타던 수레. 긴 줏대에 외바퀴가 밑으로 달리고, 앉는 데는 의자 비슷하게 되어 있으며, 두 개의 긴 채가 달려 있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

실전 끝말 잇기

헌으로 시작하는 단어 (445개) : 헌, 헌가, 헌가악, 헌가요, 헌가하다, 헌 갓 쓰고 똥 누기, 헌강, 헌강왕, 헌강왕릉, 헌거, 헌거로이, 헌거롭다, 헌거리, 헌거지, 헌거지하다, 헌거하다, 헌걸래, 헌걸스럽다, 헌걸스레, 헌걸차다, 헌것, 헌겊, 헌경 왕후, 헌계집, 헌 고리[짚신]도 짝이 있다, 헌공, 헌공 다례, 헌공 다례식, 헌공하다, 헌관 ...
헌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445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헌으로 끝나는 두 글자 단어는 67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